新
06:06
인간 불평등 기원론
장 자크 루소
1755
프랑스
성우
송유미
계몽주의 시대를 지배하던 정치적, 사회적 통념에 불응한 혁명적인 철학자 루소.
지금 당신이 살고있는 사회는 '자연의 법칙'에 부합하는 곳입니까?
18세기를 살던 루소가 오늘날의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129
- 평점4.6
- 토론글8
新
|
新
05:36
폴리테이아
플라톤
BC385~BC375
고대그리스
성우
최대한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정의가 사라져버린 현대사회.
정의는 어디 있느냐고 묻는 우리들에게 플라톤은 '정의구현의 시작은 바로 나 자신부터'라 답하고 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349
- 평점4.9
- 토론글1
新
|
新
06:10
법의 정신
몽테스키외
1748
프랑스
성우
박송
21세기 정치 과목 강의와 서양사 수업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름 몽테스키외, 그가 20년을 바친 필생의 대작.
민주주의의 초석이 된 그의 고전에 입맞춰 본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420
- 평점4.1
- 토론글4
新
|
新
05:34
권리를 위한 투쟁
루돌프 폰 예링
1872
독일
성우
박모건
법학사(法學史) 최고의 고전이자 예링에게 '법학의 프로메테우스'라는 칭호를 가져다준 책.
당신은 투쟁을 통해 스스로의 권리를 찾고 있는가?
"권리를 위한 투쟁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인 동시에 사회공동체에 대한 의무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423
- 평점4.4
- 토론글3
新
|
新
05:37
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
1762
프랑스
성우
박송
자유의 철학자 루소.
그가 우리에게 말한다.
"자유는 자유로운 인간의 마음속에 있다. 자유로운 인간은 어디에 가서도 자유로우며, 악한 인간은 어디를 가도 노예 상태에 있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467
- 평점4.5
- 토론글4
新
|
新
06:18
평론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나 아렌트
1963
독일
평론가
독일 출생의 유대인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가 나치 전범 아이히만의 재판을 취재하고 집필한 책. 그녀가 말하는 악인의 탄생 이유는?
|
新
06:06
미국의 민주주의
토크빌
1835, 1840
프랑스
성우
류시현
신생국 미국에 대한 '위대한 보고서'이자 '민주주의의 교과서'.
자유와 평등이 만연해 있던 당대 미국을 경험한 구세계 청년 토크빌.
귀족가문 출신의 그가 살펴본 1800년대의 미국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미시청
- 시간0:0
- 시청 1,928
- 평점4.3
- 토론글7
新
|
新
05:49
시민 불복종
헨리 데이비드 소로
1849
미국
성우
박송
"우리는 먼저 인간이어야 하고, 그 다음에 국민이어야 한다. 법에 대한 존경심보다 정의에 대한 존경심을 먼저 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의의 권력과 마주한 시대.
소로의 '용기'는 당신의 복음서가 되어줄 것이다.
미시청
- 시간0:0
- 시청 2,270
- 평점4.5
- 토론글9
新
|
新
05:25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1859
영국
성우
박송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즉 자신의 육체와 정신에 대해 주권자이다.”
자유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원리이자 기초적 가치인 자유.
인류 정신사에 ‘자유’의 키워드를 던진 밀의 저술 속에서 당신은 그 중요성과 소중함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新
|
新
06:36
평론가
정의론
존 롤즈
1971
미국
평론가
부잣집에서 태어난 것은 ‘운’이 좋은 거고, 반대의 경우는 ‘운’이 나쁜 거죠. ‘정의’를 위해선 바로 이 ‘운’의 영향력을 약화시켜야 한답니다.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
新
05:50
평론가
실천윤리학
피터 싱어
1980
호주
평론가
무려 15개 언어로 번역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응용윤리학 분야의 고전. ‘낙태의 합법화’, ‘안락사 옹호’ 등을 주장하는 파격적인 책
|
新
07:40
평론가
계몽의 변증법
테오도어 아도르노, 막스 호르크하이머
1944
독일
평론가
20세기 세상에 나온 가장 우울한 책 중 하나로 평가되는 책. 계몽의 역설을 주장하는 저자들의 절망에 찬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
新
07:16
평론가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1863
영국
평론가
짐승의 쾌락을 마음껏 느끼게 해준다고 짐승이 되려는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인간의 쾌락은 짐승의 쾌락과 어떻게 다를까요?
|